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사회1부 최주현 기자와 함께 112 조작, 허위 논란이 무엇인지 따져보겠습니다.<br><br>[질문1] 오늘 국무조정실이 경찰을 수사 의뢰했어요. 112 신고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길래 중대한 과오, 강도 높게 비판한 겁니까? <br><br>만약 여러분이 무슨 일이 생겨서 112 신고를 하면, 곧바로 내 주변에 있는 지구대나 파출소로 신고가 접수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일단 지방경찰청, 그러니까 충북경찰청 112상황실로 연결이 됩니다. <br> <br>이 신고는 관할 경찰서로 하달되고, 이번처럼 침수 사고가 났던 궁평2지하차도와 인접한 오송파출소가 지령을 받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경찰이 현장 출동을 합니다. <br><br>[질문2] 흐름은 알겠어요. 그럼 이중에서 어떤 부분이 문제라는 겁니까? <br><br>한 마디로 출동하지 않고 간 것처럼 속였다는 주장이 핵심입니다.<br><br>궁평2지하차도가 잠겼던 지난 15일, 오전 7시 58분에 경찰이 받은 112신고 내용은 "궁평지하차도에 통제가 필요하다"였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하차도가 침수될 때까지 경잘 통제는 없었죠, <br><br>경찰은 지난 17일 사고가 났던 궁평 2지하차도와는 1.3km 떨어진 궁평 1지하차도로 출동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는데요. <br><br>실제 경찰이 가 있었던 장소는 1지하차도도 아닌, 궁평 1교차로였습니다. <br> <br>국조실은 "신고를 받고 출동이 필요한 장소로 출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"고 봤는데요, 파출소 직원이 가지 않았는데 간 것처럼 윗선에 보고를 했거나 감찰 과정에서 국조위에 관련 내용을 언급했다면 이 역시 믿을 수 없는 보고 내용이니 검찰 수사를 받으라는 겁니다. <br><br>[질문3] 전산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경찰 112 상황실에서 조작이 가능합니까? <br> <br>경찰은 통상 출동 지령을 받은 시간과 장소, 출동 시간, 그리고 사건 처리가 마무리된 종결 시간까지 모두 전산상에 기록을 남깁니다. <br> <br>그런데 당시 기입된 전산상 기록과 비교했을때, 실제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들의 대응이 다른 점이 발견되면서 조작 의심을 받고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, 직접 충북경찰청 관계자는 전산 조작은 말도 안된다고 강하게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"지령이나 출동, 종결 시간 같은 내용은 전산상 추후 수정이 불가능하다"는 건데요, 경찰은 "당시 신고 내용에 국도 번호 등이 함께 언급되다보니 궁평 교차로로 출동할 수 밖에 없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[질문4]결국에는 112 신고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확대되는 양상인데, 그래서 그런지 검찰에 수사 의뢰를 한 걸까요?<br><br>이태원 참사가 떠오른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.<br><br>지난해 10월, 이태원에서 158명이 사망할 당시에도 경찰의 112 신고와 조치가 도마에 올랐습니다.<br><br>이번에도 결국 112 대응이 부실했던 점이 검찰의 수사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경찰은 그제 "충북 경찰의 대응 부실에 대해 충북경찰청이 수사를 하는게 맞지 않다"며 선제적으로 수사본부까지 꾸렸습니다. <br> <br>공수처도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국무총리실은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는데요. <br> <br>최대 업무상과실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는 혐의까지 적용이 가능한 만큼 진실 규명이 명백히 이뤄져야겠습니다. <br><br>[앵커]<br>결국에는 검찰 수사가 진실을 밝히는 계기가 되겠군요. <br><br>사회1부 최주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